단풍과 낙엽

단풍과 낙엽
낙옆이란 나뭇잎이 단풍이 들고 단풍의 수명이 다하면 잎이 떨어지는 것을 낙옆 이라하는 것으로 대부분이 이해를 한다 그러나 낙엽 과 단풍은 조금 다르다‘낙엽’이란 따듯했던 날씨가 차가워질 무렵부터 나뭇잎이 나무줄기에 붙어 있는 떨켜라는 것이 겨울 준비를 하느라 수분이 필요치 않아 수분을 공급을 중단하고 식물의 잎이 말라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단풍도 수명이 다해 떨어지면 낙엽이 된다. 낙엽은 나무가 월동준비를 위해 하는 첫 단계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보통 아침기온이 12°내외 정도 되면 낙엽은 지기 시작된다. 나무가 낙엽을 만드는 이유는 나무가 물을 흡수하는 기능이 약해져 잎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보호하기 위해서다. 즉, 가을, 겨울에는 땅으로부터 흡수할 수분이 적어 잎으로 가는 수분을 나무 스스로가 차단해 버리므로 잎이 수분공급이 되지 않아 떨켜 부분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다.
나무는 봄에 잎이 돋으면서부터 광합성작용을 하는데 가을이 오면 기온이 낮아지고 잎이 수분도 줄어들면서 나뭇잎은 광합성 작용을 멈추므로 엽록소가 저하되어 잎의 색이 변하는 것이다. 또한 단풍의 색과 단풍마다 색의 농도가 다른 이유는 나뭇잎 속에 색소의 함유량과 엽록소가 소멸되는 양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갈색에 가까운 색소로는 타닌이 있는데 이 색소가 있는 나무 종류에는 참나무류, 상수리나무 등이 있다. 이렇듯 단풍이란 것은 특정 색소의 역할과 잎의 광합성 작용의 중단과 엽록소의 함유량 소멸 그리고 태양이 비추는 방향과 광량에 따라 나뭇잎은 갖가지 색으로 변한다.
우리나라의 곱게 물든 단풍은 전 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외국에선 단풍구경을 할 수 없는 것일까? 단풍은 온대지방에서만 볼 수 있으므로 같은 단풍나무라 해도 온대지방이 아닌 곳에서는 볼 수 없다. 온대지방에서는 기온·수분·빛의 변화가 있기 때문에 기후가 다른 열대·한대지방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반대로 열대·한대지방의 나무들을 온대지방으로 가져다 심으면 단풍이 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오늘은 예쁜 단풍보다는 낙옆을 이야기 하고싶다. 나무꾼은 낙옆이 지는 것을 보면서 그 모습이 싫어 가을이란 계절도 싫어한다. 초겨울 비에 낙엽이 떨어지는 것을 보니 더욱 마음이 애절하다
나뭇잎은 나무의 줄기를 뿌리를 위하여 무더운 여름도 마다않고 뜨거운 태양을 마주 보며 탄소동화 작용에 최선을 다하여 탄수화물을 만들고 영양분을 공급하였건만 이제 자기할 일 다 하고 겨울이 되니 나뭇잎은 나무의 겨울을 나게 하기 위하여 어쩔수 없이 떨어 질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하였다.
떨어지는 낙엽은 온갖 힘을 다하여 떨켜를 붙잡고 조금이라도 더 매달려 있기를 바라는 것 같은데 나무는 어림도 없다 나무야 어찌되었던 사람들은 푸러렀던 나뭇잎이 봄부터 가을까지 공기를 맑게하고 산소를 공급하고 먼지를 흡수하며 음이온과 피톤치드 세로토닌과 함께 맑은 공기를 마시게 도와 주던 푸른 나뭇잎이 낙옆이 되어 떨어지는 모습은 그리 아름답지도 않고 그리 박수를 칠 만한 일은 아니다.
이제는 나무의 떨켜가 나뭇잎을 떨구려 하는 찰라 초겨울 비가 간신히 달려있는 낙엽을 안고 함께 떨어지고 만다. 낙엽이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인생도 이런 삶의 여정인가 하는 생각이다 모든 생명이 있는 생물은 건강하게 살만큼 살고 자연이 오라고 하고 건강이 허락치 않는다면 약으로 더 연명할 필요는 없을것 같다 낙엽이 수명을 다하는 것을 보니 그렇다 조금 더 나무에 붙어 있다고 달라질 것도 없다.
너무 인생의 무상함을 낙엽에 비교 하는지도 모르겠다,.
새싹으로 움이 틀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봄이 가고 꽃이 피고 여름이 가고 열매를 맺어 익어서 다음세대 까지 준비가 되었으니 더 그리 바둥 바둥 살려고 애를 쓸 이유도 없다.
나무의 한해 살이 나뭇잎을 보면서 우리의 삶도 더 겸손하고 더 양보하고 배려하며 어려운자들 보살피고 봉사활동도 좀더 많이 해야 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엊그제 어린 새싹으로 자라는 예쁜 모습과 한여름 싱싱한 푸른잎으로 자랑하던 그 에너지는 다 어디가고  기고만장하던 나뭇잎들이 바람이 불건 비가 오건 아랑곳 하지 않았다 심지어 나뭇잎을 갉아 먹는 벌레들이 덤벼도 굴하지 않고 당당히 맏서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이제는 나뭇잎이 당당한 것이 아니라 권력에 붙어 있을때 겸손 하지 못하던 모습 때문에 더 초라해 지게만 보일 뿐이다 이리도 쉽게 물러 날줄 알지를 못한 나뭇잎 같다. 지나고 보니 잎세 마다 새겨진 애환이 지난날을 회상하고도 남을 일들이 지나간 듯하다. 어떤 잎들은 자기의 처지와 존재를 알고 살았는지 아주 곱게도 아름다운 단풍으로 사람들의 선택을 받고 책갈피로 추위를 면하고 썩어짐을 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달라지는 것도 없다. 그래도 아름다운 모습만이라도 보여 줄수 있음이 다행인 듯도 하다. 이 나무잎도 가을이 없었다면 겸손도 없을 을 것이다란 생각도 해본다 그러나 나무들은 사람들 만큼 어리석지는 않았을것 같다 떨켜를 보아도 그렇다.이웃과 다툼과 시기와 질투와 알게 모르게 서로가 서로를 판단하고 경계하던 모습도 이제는 다 지나 간 그림자 만도 못하다 가을 낙옆이 되고 보니 잘나고 잘생긴것과 못나고 못생긴것과 무엇이 다르며 혹자들은 말하기를 인생이 어떻게 사는가를 논하지만 실상은 살았다는 그자체가 인생이 아니겠는가 하는 생각이다
자기에게 주어진 삶을 살고 가는것 모두가 같고 모두가 신앞에는 평등하다는 것을 생각하는 일요일 밤이다.나무의 단풍과 낙엽과정을 소중히 생각해 보며 우리 삶의 뒤안길 또는 한해를 맺는 시점에서 돌아봤을 때, 추함보다는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늘 마음을 되잡고 살아가야 할 것이다. 우리 블로그 인들이 세상을 아름답게 열심히 노력 해 보면좋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나무 뿌리와 물

식물의 동물과 차이점

자연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