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유나무
한국 명 : 산수유나무 山茱萸
달리불리는 이름 : 석초, 홍초피, 산채황, 복수초, 노루귀, 홍매,
학 명: Cornus officinalis Siebold &Zucc
과 : 층층나무과
분 류 : 낙엽성교목(소교목)
분 포 : 전국
수 고 : 6~12m
지 름 : 20cm내외
잎 모양 : 긴 난형으로 길이 4-10cm, 폭 2-6cm,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 털이 난다.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며, 털이 난다. 산수유 나무는 꽃잎이 4장 향기가 없다, 생강나무는 꽃잎이 5장 으로 향기가 있는것으로 구별하면된다.
개화시기 : 3 ~4 월 노란색 (꽃은 20~30개의 작은 꽃이 한 덩어리로 뭉쳐 피는데 아름답고 우리의 마음을 편안하게 안정시켜 준다)
열 매 : 9~10 붉게 익는다.
특 징 : 꽃은 잎보다 먼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색이고, 열매는 대추모양 타원형이다.
약효부위 : 신장기능강화, 시력보호, 정력강화, 생리불순, 요실금 완화 등
열매에는 코르닌·베르베날린·타닌·우르손·비타민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작용이 있다.
치유효과 : 약성은 온화하고 독이 없으며 맛이 시고 달다. 신장 기능과 생식 기능의 감퇴로 소변을 자주 보거나, 야뇨·두훈(頭暈), 이명과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은근히 통증을 느낄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또, 유정(遺精)·몽정이 심하고 하체에 힘이 약하여 보행 장애가 있거나 성신경의 기능허약으로 발기가 잘 안되거나 조루 등에 장복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밖에 잠자리에서 자고 난 뒤 땀을 많이 흘리거나 팔·다리가 찬 사람에게 사용해도 좋다. 다만, 부종이 있고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민간에서는 차 또는 술에 담가서 강장제로 쓰고 있다. 대표적인 처방에는 좌귀음(左歸飮)이 있다.
산수유나무이야기 : 산수유(山茱萸)는 산에서 자라는 수유 라는 뜻으로 산수유라고 한다.
茱는 열매가 빨갛게 익는것을 의미하고, 萸는 열매를 생으로 먹을수있다고 하여 수유란 이름이 유래 되었다고한다. 일본에서는 봄에 황금색으로 꽃이 핀다고 하여 춘황금화라고 부른다고한다. 중국에서는 열매의 모습이 대추를 닮아서 육조라고 부른다고 한다. 중국일본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에서도 지방마다 부르는이름의 발음은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다. 우리는 산중에서 노랗게 피는꽃이 대부분 생강나무가 많고 논뚝 밭뚝에 심겨진 나무가 주로 산수유 나무가 많다. 전라남도 구례의 산수유축제 경기도 이천 백사의 산수유 축제도 볼거리다. 산수유보다 산에 많은 생강나무열매는 새들이 아마도 더 좋아하는 듯하다. 새들 덕분에 산으로 산으로 보금자리를 옮겨 올라가는지도 모를일이다.
나무의 사진이 정리가 되지 못하여 시간 되는대로 올리도록 하겠읍니다 송구합니다.
달리불리는 이름 : 석초, 홍초피, 산채황, 복수초, 노루귀, 홍매,
학 명: Cornus officinalis Siebold &Zucc
과 : 층층나무과
분 류 : 낙엽성교목(소교목)
분 포 : 전국
수 고 : 6~12m
지 름 : 20cm내외
잎 모양 : 긴 난형으로 길이 4-10cm, 폭 2-6cm,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녹색, 털이 난다.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이 돌며,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며, 털이 난다. 산수유 나무는 꽃잎이 4장 향기가 없다, 생강나무는 꽃잎이 5장 으로 향기가 있는것으로 구별하면된다.
개화시기 : 3 ~4 월 노란색 (꽃은 20~30개의 작은 꽃이 한 덩어리로 뭉쳐 피는데 아름답고 우리의 마음을 편안하게 안정시켜 준다)
열 매 : 9~10 붉게 익는다.
특 징 : 꽃은 잎보다 먼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색이고, 열매는 대추모양 타원형이다.
약효부위 : 신장기능강화, 시력보호, 정력강화, 생리불순, 요실금 완화 등
열매에는 코르닌·베르베날린·타닌·우르손·비타민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작용이 있다.
치유효과 : 약성은 온화하고 독이 없으며 맛이 시고 달다. 신장 기능과 생식 기능의 감퇴로 소변을 자주 보거나, 야뇨·두훈(頭暈), 이명과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은근히 통증을 느낄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또, 유정(遺精)·몽정이 심하고 하체에 힘이 약하여 보행 장애가 있거나 성신경의 기능허약으로 발기가 잘 안되거나 조루 등에 장복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밖에 잠자리에서 자고 난 뒤 땀을 많이 흘리거나 팔·다리가 찬 사람에게 사용해도 좋다. 다만, 부종이 있고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민간에서는 차 또는 술에 담가서 강장제로 쓰고 있다. 대표적인 처방에는 좌귀음(左歸飮)이 있다.
산수유나무이야기 : 산수유(山茱萸)는 산에서 자라는 수유 라는 뜻으로 산수유라고 한다.
茱는 열매가 빨갛게 익는것을 의미하고, 萸는 열매를 생으로 먹을수있다고 하여 수유란 이름이 유래 되었다고한다. 일본에서는 봄에 황금색으로 꽃이 핀다고 하여 춘황금화라고 부른다고한다. 중국에서는 열매의 모습이 대추를 닮아서 육조라고 부른다고 한다. 중국일본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에서도 지방마다 부르는이름의 발음은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다. 우리는 산중에서 노랗게 피는꽃이 대부분 생강나무가 많고 논뚝 밭뚝에 심겨진 나무가 주로 산수유 나무가 많다. 전라남도 구례의 산수유축제 경기도 이천 백사의 산수유 축제도 볼거리다. 산수유보다 산에 많은 생강나무열매는 새들이 아마도 더 좋아하는 듯하다. 새들 덕분에 산으로 산으로 보금자리를 옮겨 올라가는지도 모를일이다.
나무의 사진이 정리가 되지 못하여 시간 되는대로 올리도록 하겠읍니다 송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