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쓰임새

나무의 쓰임새
 
나무의 쓰임새는 나무의 외부 모양의 쓰임새, 나무에서 나오는 각 나무마다의 성분의 쓰임새, 나무잎, 나무의뿌리, 나무줄기, 나무껍질의 쓰임새가 각각 다르고  나무의 성분의 쓰임새는 사람의 생명을 살리고 건강을 북돋우는 약재로도 엄청나게 많은 용도로  사용이 된다. 일상 생활의 도구나 기구로 사용된것만 하드라도 옛날 부터 지금까지 나무의 사용처는 1500가지가 넘는다고 하고 나무에서 채취하는 고무나무의 고무제품만 하드라도 500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약제로서의 사용처만 하드라도  단순계산이라도 100가지 이상의 약재로 사용 될듯하다.

오늘은 나무의 쓰임새가 나무의 외부 수피라는 껍질의 쓰임새나무의 잎과 꽃과 열매와 가시 등으로 나무의 이름의 연유를 찾아볼 수 있는 특징과 이름의 상관관계 얼킨 사연을 알아보자
    
나무의 외부 모양의 쓰임새를 생활 도구로 활용하는 예를 몇 가지 들어보자 예를 들어보자
물건을 운반하던 지게
지게 받침대인 지게 받침대를 만든 나무 모양의  지게 받침대,
다림질 대신 빨래를 다듬이 하는 다듬 방망이,
빨래를 할때  사용하는 빨래 방망이
맷돌을 돌리는 손잡이 맷돌의 어처구니라고 하는 손잡이,
절구질을 하는 절구대,
논농사를 위한 쓰리 제작,
곡식을 방아질하는 디딜방아,
곡식 껍질을 두들겨 벗기는 나무 도리깨,
아이들이 겨울 놀이를 하는 나무괭이,
낫 등의 농기구 손잡이  괭이손잡이, 도끼 손잡이, 망치 손잡이, 호미손잡이, 톱손잡이 대패손잡이 등등
농산물을 끌어 들이는 나무갈퀴,
나무사다리,
 
나무껍질의 용도를 보면 생활 용도로 사용하는 부분과 약재로 사용하는 한약재의 용도, 로 나눌수 있다.
생활 용도로는
굴참나무의 껍질은 나무집인굴피집이나 원두막의 지붕재로 사용을 하고 병마개로 이용하는 코르크층이 있기도 하다.
느릅나무의 껍질은 경제적인 사용부위 보다는 약재로 사용하는 사용처가 더 많은듯하다.

또 칠에 쓰인 나무로서는 옻칠에 쓰인 옻나무, 황금빛을 낼 수 있는 황칠(黃漆)에 쓰인 황칠나무를 들 수 있다. 기타 잎으로 떡을 갈아 싸는 떡갈나무, 환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무환자(無患子)나무, 가지가 낭창낭창하여 말채찍으로 쓰였다는 말채나무의 예를 들 수 있다.
뽕나무와 쓰임새는 비슷하나 훨씬더 단단하다는 의미로 굳이뽕나무가 구지뽕나무로 되고, 다시 된 발음으로 변하여 꾸지뽕나무가 되었다.
옛날 나무꾼들이 숲 속에서 짚신 바닥이 헤어지면 신갈나무 잎을 깔았다하여 '신을 간다'란 뜻으로 신갈나무가 되었다고도 한다. 나무이야기는 나무수목별 세부적인 내용을 다시 올릴 계획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나무 뿌리와 물

식물의 동물과 차이점

자연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