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옹이를 사랑할까 ?
나무가 옹이를 사랑할까 ?
나무를 베어 만든 목재에는 옹이라는 것이 있다 .
이 옹이는 나무의 가지가 살아 붙어 있던 부분이다 .
이 옹이는 성장 중이던 싹 부분이 목재의 이질적인 부분으로 남은 것이다 .
이 옹이는 나무나 목재에 박힌 가지의 기부 (基部 )이다 .
이 옹이는 주변의 목재 판재와 성격이 판이하게 다르다 .
이 옹이는 작업상 많은 어려움을 주고 목재의 가치를 떨어 뜨린다 .
이 옹이는 목재로 가공했을 때 동그랗게 생긴 이질적인 부분으로 남게 된다 .
이 옹이는 대개 목재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
이 옹이는 목재가 갈라지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이 옹이는 구조적인 목재 조직의 약점으로 작용한다 .
이 옹이는 특히 나무결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에 약하다 .
이 옹이가 목재의 튼튼함에 악영향을 끼치기도하다 .
이 옹이의 위치나 크기가 적절하다면 영향이 없을 수도 있다 .
이 옹이는 인테리어나 장식용 목재의 경우 나무 느낌을 더 강조할 수도 있다 .
이 옹이가 생기는 원인은 죽은 나무의 가지 때문이다 .
이 옹이는 인테리어나 장식용 목재의 경우 나무 느낌을 더 강조할 수도 있다 .
이 옹이가 생기는 원인은 죽은 나무의 가지 때문이다 .
이 옹이는 죽은 나무 가지의 조직 주위를 새로운 세포 조직이 감싸면서 생겨났다 .
이 옹이는 이미 죽어버린 가지의 조직이고 새로 생기는 조직과 합쳐질 수 없기 때문에
나무 본체에서 분리되어있는 옹이가 생기는 것이다.
나무는 그래도 옹이를 버리지 않았고 안고 살고 함께 살아가고 있다.
나무들이 옹이를 안고 살아가는 것을 보면 나무도 감정이 있고 사랑이 있다.
나무는 살아 있는 동안은 옹이를 절대 버리지 않는 사랑이다.
나무는 나무 결에 박혀있는 옹이가 모습은 울퉁 거리지만 다정스러운 손길로 나무를 안아준다.
나무는 세월이 갈수록 옹이와 좋은 인연, 멋진 인연으로 서로를 의지하며 자라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당신과 나의 인연은 옹이를 보호하는 나무처럼 생이 다하는 그날 까지 사랑으로 감싸주자
당신과 나의 인연은 옹이를 보호하는 나무처럼 생이 다하는 그날 까지 사랑으로 감싸주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