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심는 방법
나무심는 방법
*나무를 심을 때 권하고 싶은 내용
- 나무를 심고자 할 때는 미리 계획하고 사전 준비가 필수
- 심고자하는 수종과 수량 나무의 크기 선택
- 나무를 심고자 하는 식재지 선정과 식재지의 면적계산
- 식재할 나무의 수량 계산 나무 준비
- 식재지의 현장 정리 운반로, 보행로 및 차로를 계획
- 나무를 식재할 예산 측정 나무가격, 운반비용, 인부비용, 관리비용 등등
- 준비가 끝나면 최소한 1년 전 부터 식재할 나무예약 주문이 필수
*식재 할 나무 고르기
1. 일단 눈으로 보기에 굵고 싱싱한지 볼 것 잎눈과 꽃눈이 큰 것
2. 전체적으로 360도 골고루 가지가 난 것
3, 줄기가 곧게 자란것 근원경이 굵은 것
4. 잔뿌리가 많고 튼튼할 것
5. 지상부위와 지하부위가 골고루 자란것
6. 가지나 잎에 병충해 흔적이 적은것 가지는 균형있게 자란것
7. 묘목 자체에도 상처가 없고 잘 관리된것
8. 뿌리가 마르지 않은것
9. 대부분 묘목은 접붙이기를 한 것으로 비닐을 꼭 제거하고 심을것
10. 품질보증이 되는 나무, 사람, 농장을 이용
11. 특히 우실수는 품종 계통이 확실한 것이라야 한다.
나무 심는 시기
나무심기는 가을심기와 봄 심기 중 어느 것을 택하여도 좋으나
가을심기는 낙엽 후 땅이 얼기전 까지로 대략 11월 중순에서 12월 상순까지이고, 봄 심기는 땅의 해빙과 함께 시작하여 늦어도 3월 중순까지는 심어면 좋다. 가을심기는 봄 심기보다 활착이 빠르고 심은 후의 생육이 좋으므로 겨울철 동해와 건조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약 봄에 묘목을 구입하여 심고자 할 때에는 너무 늦지 않도록 해야 하며, 봄철의 건조에 각별한 주의 식재시 충분한 물주기와 식재후 일주일경 한번 더 물주기를 하는것이 좋다.
* 구덩이 파기 및 심기
나무를 심을 구덩이는 미리 심을 거리에 맞추어 파놓은 것이 토양을 풍화시켜 줌으로 좋은 것이고, 경사지의 생땅인 경우는 구덩이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경사 아랫방향 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조치를 해 두어야 한다.
배수 불량지의 토양이나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서는 암거배수 시설을 하던가,배수를 하기 위하여 경량사질토 만을 긁어 모아 심도록 하는 것이 좋다.
되도록 습기가 많은 땅은 식재지로서는 좋은 위치가 아니다.
가물어 죽는 나무보다 물기가 뿌리에 많아 서서히 죽는 사례가 더 많고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많다. 나무는 잎만 숨을 쉬는 것이 아니고 나무도 호흡을 하여야 하고 적당한 온도도 필요하다.
참고로 지하부 뿌리가 좋아하는 온도가 10~18도 사이면 좋고
지상부가 좋아하는 온도는 18~30사이라고 한다.
*나무를 산에 심을 때
현재 산에 나무가 있다면 벌목 허가 후
수종개량을 하시면 됩니다 관할 군청이나 시청 산림계 방문 문의
정부 지원사업 으로도 가능하며 산림청에서 풀베기, 관리까지 해준다.
산림청의 지원을 받을때 벌기령만 25~30년이 좋을듯함
다만 벌목은 나무심기! 숲가꾸기를 함께 조건부로 실행 된다.
벌목업자가 3~5년 풀베기를 옵션으로 함께 벌목시 책임지는 구조이다.
식재될 나무는 지원금이 있구요 관리비도 지원이 된다.
지자체마다 조건이 조금씩 다르니까 잘 알아보고 시행하시길 바란다.
본인이 2016년도 식재할 1차 임야 3만평 기준 향후 진행 사항과 인허가 산림청 지원에 대한 자료는 차후 정리 하여 실을 예정이다.
함게 관심을 가지고 정보를 공유하면 서로가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