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식물들
가을식물들
처서가 지나고 계절이 바뀌면서 온도 변화를 이야기 하다가 물의 중요성으로 물이야기를 하였다.
이제 다시 가을의 초본식물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
생각나는대로 자연의 중요성과 고마움을 이야기하다가 고마운 물, 우리의 생명수인물 다음으로 물보다 더 귀한 공기를 이야기를 하려다가 가을 초본류와 공기 이야기해보자 봄의 잎들이 여름을 나고 가을을 맞이하여 오늘도 나무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있다. 마지막 탄소동화 작용을 하는시간까지 최선을 다하여 잎들이 수고를 하고 있다. 아직은 탄소 동화작용도 하고 곧 닥아올 늦가을 준비와 초겨울 준비 그리고 겨울 준비를 할 것이다. 그나마 지금가지 수많은 잎들이 공기 중에 미세 먼지를 안아주고 흡수하여 맑은 공기를 우리들에게 선사 하였지만 잎이 떨어지는가을 겨울에는 잎 대신 우리는 마스크를 착용할까 하는생각도 해 본다.
그뿐인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든 잎들이 사라지면 그 또한 걱정이다.
차량은 계절 없이 늘어나고 추운겨울은 실내 난방으로 더 엔진을 가동할터이고 배기 가스는 더 방출 될텐데 이산화탄소 일산화 탄소를 어찌 자연은 받아들일까?
나뭇잎이 이리도 고마운데, 우리들은 고마움을 모르고 지나다가 이제 머지 않아 푸른 나무잎들과 헤어지려 하니 낙옆이 지면서 잎마름 병에 고생하는 나뭇잎 들에게 고맙고 미안하고 애처롭기 까지한 마음이다 .
잎은 참 많은 일을 한다. 조금도 생색한번 제대로 낸적이 없다. 뽐내고 자랑한적도 없고 도도하게 군적도 한번없다. 그뿐만 아니라 잎들이 하루에 끌어 올린 수분을 대기에 발산하면서 공기를 정화하기도 하지만 온도의 조절 능력 또한 대단하였다. 그래도 댓가를 요구한적도 한번없다 고맙고 감사하다.
기온이 이제 낮아지면 단풍 현상과 가을을 대표하는 국화꽃들 그리고 초롱꽃 등이 마지막 한해를 장식하는 꽃으로 선명한 색감으로 가을을 더 아름답게 할 것이다. 이러한 색감의 차이는 바로 계절적 변화를 대변하는 온도와 일광 조건 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것이다. 우리는 그냥 생각도 없이 고마움도 없이 당연한일로 치부하고 소 닭보듯이 한다. 그러나 소처럼 닭이 고마워서 고마운 마음으로 보는것이 아니라 사람들은 그냥 국화는 언제나 짙은 색감과 향기를 내는 식물로 우리에게 익숙해 져있다.
무궁화 꽃들과 이별할 시간도 그리 많이 남아 있지는 않은 듯 하다. 세월은 한시도 쉬어 가는 법이 없으니까!
그리고 현대과학도 이러한 꽃을 가진 초본류에 대한 궁금증을 연구할 것이고 인간의 치료에 연구를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일이다.
국화과에서 생겨나는 꽃의 색감과 꽃에서 베어나오는 향과 화합물이 동맥경화를 예방한다는 것은 이미 확인된 일이다. 이러한 자연의 향과 색까지도 우리의 삶을 유지해 주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참으로 대단한 기적 같은 일이고 신의 축복같은 감사한 일이다. 이런 일들을 그냥보고 넘어 갈 일이 아니다 옛날에도 벌써 베게와 문풍지 아래에 들어있던 감국꽃이나 산국 등은 선조들의 지혜를 잘 담아내고 우리의 일상에 많은 가르침을 주고 있는듯하다.
조상들의 정서적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생활 과학을 담아 우리들에게 전통으로 물려준 일은 수천년에 걸처 몸으로 직접 체험하고 생명의 위험까지도 무릅쓰고 실험 대상까지도 서슴 없이 하시고 수고를 아끼지 않았던 점에 우리는 눈물겹도록 고마워 해야 할 일이다.
조상들의 생할 방식이 얼마나 과학적이였는지 놀랍기만 하다.
겨울 같던 추위 속에서 꽃으로, 봄을 알리는 매화는 어떤가? 그 추위 속에서도 민족의 힘처럼 생활의 곳곳에 살아 숨 쉬는 듯하다. 추위속에서도 향기외 꽃을 만들어 내고 겨울 추위 속에서는 향기도 최고다
일년 내내 배가 아프면 가정의 상비약으로 이용하는 매실차도 우리의 일상에서는 만만한 존재만은 아니다. 또 이야기는 삼천포를 향해 가고 있자만 들익은 매실의 독성에 고생을 하게 되는 수도 있다.
특히 매실, 사과, 침외, 오얏, 아몬드 등에도 배당체에 조심할 일이다. 식물도 자신을 위해 자손을 위해 어느 정도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명심 할일이다. 여하간 가을의 나뭇잎을 더욱 사랑하고 더욱 고마워 하며 더욱 아끼고 즐기는 마음이기를 바래본다. 이번 가을 가을을 소재로한 나무와 가을을 마음껏 즐기고 사랑하고 즐거워 해 보기로 하자 가을이면 생각나는 닐케의 가을날의 시처럼 .........
처서가 지나고 계절이 바뀌면서 온도 변화를 이야기 하다가 물의 중요성으로 물이야기를 하였다.
이제 다시 가을의 초본식물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
생각나는대로 자연의 중요성과 고마움을 이야기하다가 고마운 물, 우리의 생명수인물 다음으로 물보다 더 귀한 공기를 이야기를 하려다가 가을 초본류와 공기 이야기해보자 봄의 잎들이 여름을 나고 가을을 맞이하여 오늘도 나무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있다. 마지막 탄소동화 작용을 하는시간까지 최선을 다하여 잎들이 수고를 하고 있다. 아직은 탄소 동화작용도 하고 곧 닥아올 늦가을 준비와 초겨울 준비 그리고 겨울 준비를 할 것이다. 그나마 지금가지 수많은 잎들이 공기 중에 미세 먼지를 안아주고 흡수하여 맑은 공기를 우리들에게 선사 하였지만 잎이 떨어지는가을 겨울에는 잎 대신 우리는 마스크를 착용할까 하는생각도 해 본다.
그뿐인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든 잎들이 사라지면 그 또한 걱정이다.
차량은 계절 없이 늘어나고 추운겨울은 실내 난방으로 더 엔진을 가동할터이고 배기 가스는 더 방출 될텐데 이산화탄소 일산화 탄소를 어찌 자연은 받아들일까?
나뭇잎이 이리도 고마운데, 우리들은 고마움을 모르고 지나다가 이제 머지 않아 푸른 나무잎들과 헤어지려 하니 낙옆이 지면서 잎마름 병에 고생하는 나뭇잎 들에게 고맙고 미안하고 애처롭기 까지한 마음이다 .
잎은 참 많은 일을 한다. 조금도 생색한번 제대로 낸적이 없다. 뽐내고 자랑한적도 없고 도도하게 군적도 한번없다. 그뿐만 아니라 잎들이 하루에 끌어 올린 수분을 대기에 발산하면서 공기를 정화하기도 하지만 온도의 조절 능력 또한 대단하였다. 그래도 댓가를 요구한적도 한번없다 고맙고 감사하다.
기온이 이제 낮아지면 단풍 현상과 가을을 대표하는 국화꽃들 그리고 초롱꽃 등이 마지막 한해를 장식하는 꽃으로 선명한 색감으로 가을을 더 아름답게 할 것이다. 이러한 색감의 차이는 바로 계절적 변화를 대변하는 온도와 일광 조건 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것이다. 우리는 그냥 생각도 없이 고마움도 없이 당연한일로 치부하고 소 닭보듯이 한다. 그러나 소처럼 닭이 고마워서 고마운 마음으로 보는것이 아니라 사람들은 그냥 국화는 언제나 짙은 색감과 향기를 내는 식물로 우리에게 익숙해 져있다.
무궁화 꽃들과 이별할 시간도 그리 많이 남아 있지는 않은 듯 하다. 세월은 한시도 쉬어 가는 법이 없으니까!
그리고 현대과학도 이러한 꽃을 가진 초본류에 대한 궁금증을 연구할 것이고 인간의 치료에 연구를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일이다.
국화과에서 생겨나는 꽃의 색감과 꽃에서 베어나오는 향과 화합물이 동맥경화를 예방한다는 것은 이미 확인된 일이다. 이러한 자연의 향과 색까지도 우리의 삶을 유지해 주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참으로 대단한 기적 같은 일이고 신의 축복같은 감사한 일이다. 이런 일들을 그냥보고 넘어 갈 일이 아니다 옛날에도 벌써 베게와 문풍지 아래에 들어있던 감국꽃이나 산국 등은 선조들의 지혜를 잘 담아내고 우리의 일상에 많은 가르침을 주고 있는듯하다.
조상들의 정서적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생활 과학을 담아 우리들에게 전통으로 물려준 일은 수천년에 걸처 몸으로 직접 체험하고 생명의 위험까지도 무릅쓰고 실험 대상까지도 서슴 없이 하시고 수고를 아끼지 않았던 점에 우리는 눈물겹도록 고마워 해야 할 일이다.
조상들의 생할 방식이 얼마나 과학적이였는지 놀랍기만 하다.
겨울 같던 추위 속에서 꽃으로, 봄을 알리는 매화는 어떤가? 그 추위 속에서도 민족의 힘처럼 생활의 곳곳에 살아 숨 쉬는 듯하다. 추위속에서도 향기외 꽃을 만들어 내고 겨울 추위 속에서는 향기도 최고다
일년 내내 배가 아프면 가정의 상비약으로 이용하는 매실차도 우리의 일상에서는 만만한 존재만은 아니다. 또 이야기는 삼천포를 향해 가고 있자만 들익은 매실의 독성에 고생을 하게 되는 수도 있다.
특히 매실, 사과, 침외, 오얏, 아몬드 등에도 배당체에 조심할 일이다. 식물도 자신을 위해 자손을 위해 어느 정도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명심 할일이다. 여하간 가을의 나뭇잎을 더욱 사랑하고 더욱 고마워 하며 더욱 아끼고 즐기는 마음이기를 바래본다. 이번 가을 가을을 소재로한 나무와 가을을 마음껏 즐기고 사랑하고 즐거워 해 보기로 하자 가을이면 생각나는 닐케의 가을날의 시처럼 .........
댓글
댓글 쓰기